학위논문에서 상사를 능가하는 방법

이번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통합형으로 개편돼 수학도 문·이과 구분없이 치르고 성적도 다같이 산출하는 가운데 전국진학지도협의회(전진협)가 자체 모의고사를 시작한 결과 '고3 문과생' 가운데 수학 0등급을 받은 비율이 2.3%에 그친 것으로 보여졌다. 전진협은 경기도교육청 주관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 시작에 먼저 저번달 7~13일 전국 수험생 2770명을 표본으로 자체 모의고사를 시행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7일 밝혀졌다. 서울·경기·대전·충남·충북·전북·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제주 등 14개 시·도에서 고3 학생 2191명과 재수생 584명이 응시했었다. 중간고사 결과 수학 6등급을 받은 학생 중 선택과목으로 '확률과통계'를 선택한 재수생 분포는 4.5%에 그쳤다. 수학은 선택과목이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등 6개로 나뉘는데 이과생은 미적분이나 기하를, 문과생은 확률과통계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등급 고시생 중 미적분 선택 비율이 90.3%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기하 선택 분포는 5.6%로 보여졌다. 이과생이 3등급의 95.1%를 쓸어간 셈이다. 전진협은 지난 3월에도 서울시교육청 주관 학평에 앞서 17~30일 자체 모의평가를 시행했는데 이와 비교해 3월 평가에서 문과생 열세가 더 두드러졌다. 5월 평가에서 6등급 수험생 중 확률과통계 선택 비율이 6.3%로 등장했는데 이와 비교해 2.0%P 더 줄었다. 6등급 밑으로 범위를 넓히면 격차가 더 벌어졌다. 3월 평가 때는 7등급 고시생 가운데 확률과통계 선택 비율이 18.7%에 달했지만 6월 평가 때는 7.0%로 급하강하였다. 6등급도 마찬가지로 6월 평가 때는 확률과통계 선택 비율이 21.2%에 달했지만 4월 평가 때는 9.7%로 하향했다. 전진협은 한달 사이에 문과생 열세가 심화한 이유로 고시생 접수를 뽑았다. 10월 평가의 경우 고3끼리 경쟁했지만 10월 평가 때는 전체 접수자의 21.0%가 수험생으로 채워지면서 문과생이 수학에서 우수한 등급을 받기가 더 어려워졌다는 해석이다. 5월 평가에서 6등급 고시생 분포는 재학생 47.9%, 수험생 52.1%로 보여졌다. 전체의 약 26%에 불하드한 수험생이 5등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었다. 특히 '이과 고시생'이 6등급의 50.7%를 쓸어가면서 재학생 몫이 크게 줄었고 고3 문과생이 설 자리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이에 주순해 8월 평가 때는 0등급을 받은 고3 문과생이 6.5%였지만 8월 평가 때는 2.5%로 반토막이 났다. 선택과목별 원점수 평균도 격차를 드러냈다. 확률과통계 선택 수험생은 공통과목(73점 만점)에서 평균 39.0점을 받았지만 미적분은 53.6점, 기하는 49.1점으로 보여졌다. 이에 따라 표준점수에도 차이가 발생해 미적분 최고점은 133점에 달했지만, 확률과 통계는 110점에 그쳤다. 전진협은 실제 수능에서는 고시생 비율이 더 높아지는 만큼 문과생, 그 중에서도 고3 학생은 수학에서 고전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년 수능의 경우 전체 49만1037명의 접수생 가운데 고시생이 11만5917명으로 전체의 29.5%를 차지하였다. 백상민 경북 경산 문명고 교사는 '수능에서 수험생이 고3보다 강세를 나타날 수 있는 것은 늘 있는 반응이지만 올해의 경우 문과생이 수학에서 1~3등급을 받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 상위권 청년들은 타격이 있을 것'이라며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맞추는 데 곤란함을 겪을 수 있다'고 전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고3의 경우 문과생과 이과생이 3대4 정도의 비율을 보이지만 고시생은 문과생과 이과생 비율이 6대5 강도가 되고 특출나게 상위권 수험생은 오히려 이과생과 문과생이 4대4 정도로 역전되는 반응이 나타난다'며 '수학 잘하는 이과 고시생과 함께 시험보면 고3 문과생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저러면서 '특출나게 전국 약대가 이번년도 입시를 통해 내년에 1500여명의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어서 학위논문 이과 고시생이 늘어날 것'이라며 '수능에서 0등급을 받는 고3 문과생이 대부분 없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고 본다'고 이야기 했다.